본문 바로가기

시골 빈집 리모델링

시골 빈집 리모델링 욕실 인테리어, 물 잘 빠지게 하는 설계 노하우

시골 빈집 리모델링 욕실 설계 전 배수구 위치와 경사부터 점검하라

시골집 리모델링에서 욕실 인테리어는 단순히 예쁘게 꾸미는 것보다 배수와 방수 설계가 핵심입니다. 특히 오래된 시골집 욕실은 대부분 배수 시스템이 부실하거나 설계가 불합리해, 물이 잘 빠지지 않아 늘 습기가 차고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흔합니다. 욕실 리모델링 전,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기존 배수구의 위치와 경사 방향입니다. 욕실 바닥은 물이 한곳으로 모이도록 경사를 설계해야 하는데, 경사가 잘못되면 바닥 곳곳에 물이 고이거나 물길이 역류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시골집은 시공 당시 배수관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배관을 설치하거나, 미세한 경사로 설계돼 있어 물이 바닥 전체에 고이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리모델링 시 욕실 바닥은 배수구를 중심으로 1~1.5% 정도의 경사를 확보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예를 들어 1m 바닥 길이라면 최소 1cm 이상 높이 차가 있어야 합니다. 배수구 위치는 욕실의 가장 낮은 부분으로 잡고, 배관의 길이와 수압까지 고려해 설계해야 역류와 막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배수관이 낡았다면 교체 후 방수 공사를 새로 하는 편이 좋습니다. 오래된 배수관은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물빠짐이 나빠질 가능성이 높고, 관 자체의 경사도 적절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골 빈집 리모델링 욕실 인테리어

시골 빈집 리모델링 욕실 방수공사와 바닥 마감, 세심함이 곧 배수 효율이다

시골집 오래된 욕실은 오래된 구조와 낮은 층고, 좁은 공간 등으로 방수공사와 배수 설계가 더욱 중요합니다. 방수공사는 타일 시공 전 반드시 시공해야 하며, 바닥과 벽의 모서리, 파이프 관통 부위까지 꼼꼼히 방수층을 시공하지 않으면 작은 틈으로 물이 스며들어 기초까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방수 시공 두께는 최소 1.5mm 이상으로 하고, 모서리 부위는 방수테이프나 코너보드를 사용해 덧대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배수구 주변은 방수층이 갈라지기 쉽기 때문에 방수재를 두 번 이상 덧발라 보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바닥 마감은 타일과 그 사이의 줄눈 시공이 관건입니다. 배수가 잘되기 위해서는 미끄럼 방지 타일을 사용하면서도 바닥의 경사를 타일 설치와 동시에 유지해야 합니다. 타일 줄눈은 배수가 집중되는 배수구 방향으로 줄이 모이도록 설계해야 물길이 막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빠집니다. 또한 벽타일과 바닥타일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는 방수 실리콘으로 마감해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시골집 욕실은 자연환경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공사와 바닥 마감의 꼼꼼함이 욕실의 수명을 결정짓습니다.

시골 빈집 리모델링 욕실 동선과 디테일 설계로 쾌적함을 완성하라

배수와 방수가 안정적으로 설계됐다면, 마지막 단계는 욕실 동선과 디테일 설계입니다. 시골집은 욕실 공간이 협소한 경우가 많아 세면대, 변기, 샤워 공간이 한 곳에 모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사용자의 움직임과 물 사용 순서를 고려해 배치를 조정하면 청결과 편리함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샤워 공간과 변기 사이에 낮은 파티션이나 커튼을 설치해 샤워 중 물이 변기로 튀는 것을 막고, 샤워공간 쪽에만 배수구를 설치해 샤워 후 물기가 욕실 전체로 퍼지지 않게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시골집 욕실은 외풍과 습도가 심해 결로와 곰팡이가 잘 생기기 때문에, 배수 외에 환기 시스템 설계도 중요합니다. 창문이 없거나 작다면, 천장에 환풍기 설치로 공기 순환을 유도하고, 전기 콘센트는 방수커버가 달린 제품으로 교체해 안전성을 확보하세요. 바닥에 이동식 매트를 사용하는 대신 욕실용 경사형 데크를 설치하면 물빠짐이 빠르고 바닥 건조 속도가 빨라져 위생 관리가 쉽습니다. 이런 디테일을 더하면 작은 공간이라도 쾌적함과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시골집 오래된 욕실의 단점이었던 물빠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